Make Unreal REAL.
article thumbnail
Level 0. 조건 문자열

Level 0. 조건 문자열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string ineq, string eq, int n, int m) { if (ineq == "" && eq == "!") return n > m; }

article thumbnail
복소평면(Complex plane)

이득우의 게임 수학 복소수 역시 실수부에 해당하는 실수축과 허수부에 해당하는 허수축을 직각으로 교차시키는 방식의 복소평면을 통해 2차원 공간에 표현한다. 벡터와 비슷하게 복소수 a + bi는 (a, b)로 나타낼 수 있다. 크기가 1인 단위 복소수를 모아 복소평면에 표현하면 단위원이 만들어진다. 단위 복소수는 곱셈에 대해 특별한 성질을 만족한다. 허수부가 0인 임의의 복소수 (a, 0)에 단위 복소수 i를 곱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복소수 (a, 0)을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시킨 결과와 같다. (0, a)에 단위 복소수 i를 곱해보면 (-a, 0)이 나오고, (-a, 0)에 i를 곱하면 (0, -a)가 나오고, (0, -a)에 또 i를 곱하면 (a, 0)이 되어 원래 값으로 돌아온다. 단위 복소수 ..

article thumbnail
1차원 벡터를 2차원 벡터로 변환

Can I convert my 1D vector to a 2D vector faster than this? The question is quite straightforward. After some trials, here is the most efficient code I found: //For the sake of the example, I initialize every entry as zero. vector vector1D(1024... stackoverflow.com copy() 함수를 통해 벡터 내부로 관리되는 배열에 직접 값을 복사하면 된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main() { vector v1D = {1, 2, 3, 4,..

article thumbnail
Level 0. 1로 만들기

Level 0. 1로 만들기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vector num_list) { auto func = [](int sum, int num) { int n = 0; while (num >>= 1) ++n; return sum + n; }; return accumulate(num_list.begin(), num_list.end(), 0, func); }

article thumbnail
복소수(Complex number)

이득우의 게임 수학 복소수는 실수(Real number)와 허수(Imaginary number)의 독립된 2개 요소로 구성된 수 집합이며 집합 기호 C로 표현한다. 복소수 체계에서 실수와 허수는 완전히 분리된 성질을 가진다. 모든 실수는 제곱하면 0보다 크거나 같은 수가 나오지만, 허수의 허수 단위(Imaginary unit) i는 제곱했을 때 -1이 나온다. 복소수는 실수부(Real part)와 허수부(Imaginary part)로 표현되며, 허수부는 항상 허수 단위 i를 붙여 표기한다. 다음과 같은 순서쌍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복소수의 덧셈은 벡터의 덧셈과 매우 유사하며 비슷한 성질을 가진다. 복소수 덧셈 연산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복소수의 곱셈은 다음과 같다. 복소수 곱셈 연산의 성질은 다음과 같..

article thumbnail
Level 0. 배열 만들기 5

Level 0. 배열 만들기 5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ector solution(vector intStrs, int k, int s, int l) { vector answer; for (string& str : intStrs) { int num = stoi(str.substr(s, l)); if (k < num) answer.emplace_back(num); } return answer; }

검색 태그